- DIAGNOSTIC TEST
- 학습시간관리검사
- 학습시간 관리란 주어진 시간 내에 최대한 능률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실천하며, 평가하고 조정하는 것입니다.

비록 제한된 시간일지라도 얼마나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가,
주어진 전체 시간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고 할 수 있습니다.
학습시간 관리에 제약이 되는 요소는 크게 외적인 요소와 내적인 요소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자신의 학습시간 관리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로 어떤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구분 | 제약 내용 |
---|---|
외적인 요인 | 요구의 증가, 제한된 학습시간, 많은 학습량, 일상생활에서의 변수, 무질서한 주변 환경 |
내적인 요인 | 생활습관, 목표달성보다는 학습자체에 만족, 지연행동, 감정 및 성격 문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며 사회학자인 Pareto(1848~1923)는 복지의 분배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들이 통제될 경우 선택된 요소 가운데 소수의 기능들이 효율성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Pareto의 법칙은 시간의 20%는 결과의 80%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 80%의 시간은 20%만의 결과를 생산하는 데 소비된다는 것입니다. 이 법칙은 계획 수립단계에서 우선순위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파레토 법칙은 학생들의 학습시간 관리에도 효과적인데 학습계획에서의 우선순위 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에 투자된 시간과 관심(집중력)은 성적향상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은 학습효과 만족의 중요한 부분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20%의 시간’에서 ‘사소한 것’을 분리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장기적 목표에서는 개인적인 가치에 우선순위를 두는 반면, 작업과 관련된 활동은 종종 급박함이나 마감시간에 우선순위를 두는데, 이것은 파레토의 법칙이 적용되는 한 예입니다.
설문대상: 전국 62개 고등학교 14,008명
- 학습목표
설정 - 설문결과보기 +

- 학습순서
결정 - 설문결과보기 +

- 학습계획
수립 - 설문결과보기 +

- 학습계획
실천 - 설문결과보기 +

- 학습효과
평가 - 설문결과보기 +

- 학습정보
이용 - 설문결과보기 +
학습시간 관리 설문조사 분석(검사 항목별 결과 인원비율)
구분 | 점수 | 학습목표 설정 | 학습순서 결정 | 학습계획 수립 | 학습계획 실천 | 학습효과 평가 | 학습정보 이용 |
---|---|---|---|---|---|---|---|
우수 | 17~20 | 9.2 | 15.1 | 6.4 | 4.7 | 9.0 | 4.6 |
보통 | 12~16 | 59.4 | 68.3 | 57.7 | 60.1 | 58.3 | 53.2 |
부족 | 8~11 | 28.7 | 14.8 | 31.3 | 31.8 | 28.7 | 35.7 |
매우부족 | 4~7 | 2.6 | 1.8 | 4.6 | 3.4 | 3.9 | 6.5 |
검사영역 | 검사영역 설명 |
---|---|
학습목표 설정 | 학습목표는 학습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학습 성과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실천하지 못할 거창한 목표나 자신의 생활 패턴과 다른 목표는 오히려 학습에 악영향을 가져올 뿐입니다. 학습목표 설정은 명확한 목표와 단기, 중기, 장기의 목표를 실천 가능하도록 설정하는지를 측정하는 영역입니다. |
학습순서 결정 | 학습목표를 정하는 것 못지않게 영역/과목에 대한 학습 우선순위를 정하여 학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학습순서는 자신이 목표하는 대학/학과의 전형방법과 현재 자신의 성적수준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학습순서 결정은 영역/과목별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학습하는지를 측정하는 영역입니다. |
학습계획 수립 | 학습계획은 자신에게 주어진 학습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습계획은 과욕을 부리거나 너무 세밀한 계획은 짜기 힘들뿐 아니라 실천하기도 어렵습니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작은 단위로 시간을 나누어 실천 가능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학습계획 수립은 단기, 중기, 장기 학습계획과 학습시간과 학습 분량 등을 고려하여 학습계획을 수립하는지 측정하는 영역입니다. |
학습계획 실천 | 학습목표, 학습순서, 학습계획이 세워졌다면, 이를 실천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실천하지 않으며 아무 소용없습니다. 어떠한 경우라도 계획한 학습은 반드시 실천해야 합니다. 학습계획 실천은 계획된 학습을 얼마나 성실하게 실천하는가를 측정하는 영역입니다. |
학습효과 평가 | 학습효과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인 평가보다는 객관적인 평가가 되어야 합니다. 중간/기말고사 또는 모의수능시험 등을 통해 자신의 학습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자신이 계획한 목표를 얼마나 실천했는지를 확인하여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학습효과 평가는 자신이 계획한 목표에 대한 실천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음 학습계획에 반영하는지를 측정하는 영역입니다. |
학습정보 이용 | 학습은 교과서나 일부 문제집에 국한 하지 말고 가능한 모든 정보(TV, 신문, 인터넷 등)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학습정보 이용은 자신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정보매체 등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측정하는 영역입니다. |
검사 대상 | 고1 ~ 고3 N수생 |
---|---|
검사명 | 학습시간관리검사 |
검사 내용 |
|
검사 비용 | 무료 |